졸혼 시대(The age of graduation from marriage)

출간일(Release) : 2017/02/17
종이책 출간일(Print Release) : 2017/02/14
전자책 종류(Format) : ePub
Price : KRW 12,000
미리보기(Preview)


ridi

google

yes24

kyobo

aladin

tstore

apple


책소개(Overview)
‘결혼을 졸업한다’는 의미의 신조어 ‘졸혼卒婚’이 기혼자들을 중심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졸혼은 고정적인 부부 관계나 역할을 탈피한 라이프 스타일을 의미한다. 배우자와 더불어 가장 나답게 사는 법, 일상에서 내 삶의 비중을 늘리는 새로운 결혼생활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다. 지난 해 네이버에서 두 번째로 많이 검색됐을 정도로 화제가 된 단어 졸혼, 이 개념이 처음 소개된 책이 바로 “졸혼 시대”다. 실제 졸혼을 실천한 여섯 쌍의 부부를 인터뷰한 이 책은 다양한 졸혼의 형태를 보여주면서 졸혼이 왜 필요한지, 무엇이 좋은지,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지 솔직하게 말하고 있다.

The new word ‘graduate from marriage’ is becoming a hot topic for married people. This means a lifestyle that has escaped a fixed marital relationship or role. This is a new marriage that increases the proportion of my life in everyday life. This is the first time the concept has been introduced in the “The age of graduation from marriage”. This book, which interviews six couples who have actually practiced jolly, expresses various forms of solitude and tells candidly why ‘graduate from marriage’ is necessary, what is good, and how to practice it.


저자(Author)
스기야마 유미코(Skiyama, Yumiko)
여성의 삶을 주제로 글을 써온 작가. 와세다대학 졸업 후 유명 여성지 편집부에서 일했고, 아이를 낳은 후에는 프리랜서 작가로 일하며 꾸준히 책을 펴냈다. “졸혼 시대”로 일본 사회에 ‘졸혼’이라는 파격적인 개념을 제시하여 화제가 됐다. 이 책의 출간 이후 일본에서는 중장년층 사이에서 다양한 형태로 졸혼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A writer who writes about women’s life. After she graduated from Waseda University, she worked for the editorial department of famous women ‘s magazines. After she gave birth to a child, she worked as a freelance writer and published books steadily. “The age of graduation from marriage” was introduced to Japanese society as “graduation from marriage”. Since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graduation from marriage has been steadily being attempted in various forms in Japan and elsewhere.

포스트자본주의: 새로운 시작(Postcapitalism)

출간일(Release) : 2017/01/23
종이책 출간일(Print Release) : 2017/01/13
전자책 종류(Format) : ePub
Price : KRW 16,000
미리보기(Preview)


ridi

google

yes24

kyobo

aladin

tstore

apple


책소개(Overview)
“기술이 자본주의를 죽였다”
‘자본주의의 죽음’과 대담한 미래

이번 변화의 중심에는 정보기술, 즉 IT가 있다. IT는 자본주의에 의해 촉진되었으되, 우리가 지금까지 만들어낸 대부분의 가치를 ‘0’으로 밀어붙여 소멸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IT에는 시장과 임금, 그리고 사유재산권에 기초한 기존 경제를 괴멸시킬 잠재력이 있다. 거의 누구도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에, 시장 시스템의 틈새와 구멍들 속에서 경제생활의 다양한 흐름은 다른 리듬을 따르기 시작했다.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국가가 지원하는 기업 중심 자본주의’라는 현 체제와는 정반대 방식으로 행동하고 살아가는 방식을 바꾸는 중이다. 그리고 지형이 달라지면, 새 길이 열리게 마련이다.

이 위기가 남길 잿더미 속에서 인류가 좀 더 사회적으로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체제를 만들어낼 기회는 있을까? 폴 메이슨은 이 대담하고 선지적인 책에서 그 가능성을 보여준다. 곧 코앞에 닥칠 위기는 심각하지만, 희망을 가질 근거는 있다고 주장한다. 이번이야말로 우리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명백하게 이해한 채 미래를 예측하고 빚어낼 수 있는, 인류 역사상 처음 맞이하는 기회다.

“Technology has killed capitalism”
‘Death of Capitalism’ and a Bold Future

At the heart of this shift is information technology, or IT. IT is promoted by capitalism, but it tends to push and destroy most of the values we have created so far to zero. IT therefore has the potential to destroy existing economies based on markets, wages, and property rights. While almost no one noticed, the diverse flows of economic life in the gaps and holes of the market system began to follow a different rhythm. A huge number of people are changing the way they act and live in the opposite way to the current system of ‘corporate-centered capitalism supported by the state.’ And if the terrain changes, the new road will open.

Will there be a chance for mankind to create a more socially fair and sustainable economic system in the ashes of this crisis? Paul Mason shows this possibility in this bold, prophetic book. Soon, the crisis will be serious, but it claims to have hope. This is the first time in human history that we can predict and shape the future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is happening to us.


저자(Author)
폴 메이슨(Paul Mason)
영국 랭커셔에서 태어나 셰필드대학교, 런던대학교를 졸업했다. 여러 전문잡지와 신문사에서 기업 뉴스를 담당하다가2001년부터 BBC 뉴스나이트Newsnight에 합류했다. 2013년 채널4 뉴스팀에 문화?디지털 에디터로 합류했으며, 2014년부터 2016년 초까지는 경제 에디터로 활약했다. 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세계화의 부작용과 사회정의 관련 문제에 관심이 깊으며, 기업 및 산업 담당 특파원으로 굵직굵직한 사건들을 취재했다.
2003년 비즈니스 저널리즘 부문에서 윈콧 상을 수상했고, 2004년 ‘올해의 워크월드 저널리스트’로 선정됐다. 2007년에는 휴대폰이 어떻게 아프리카를 변화시키고 있는지에 관한 탐사보도로 디아지오 아프리카기업리포트 상을 수상했고, 볼리비아 대통령 에보 모랄레스를 지지하는 사회 운동에 관한 보도로 오웰 상을 받았다. 2012년에는 영국왕립텔레비전협회Royal Television Society에서 주는 올해의 기자상을 받았다.
세계 노동운동의 역사를 다룬 “일만 하며 살 것인가, 싸우다 죽을 것인가Live Working or Die Fighting”, 2008년 금융위기를 취재한 “탐욕의 종말Meltdown”, 중국을 무대로 한 소설 “희토류Rare Earth” 등을 썼으며, “가디언”, “뉴스테이츠먼”, “스펙테이터” 등의 매체에 정기적으로 기고한다. BBC 블로그 ‘폴 메이슨의 한담Paul Mason’s Idle Scrawl’를 운영하면서 금융위기와 사회문제에 관해 글을 쓰고 있다. 현재 영국 울버햄프턴대학교 국제경영학 연구클러스터에서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Born in Lancashire, England, she graduated from Sheffield University and London University. He has been working for corporate news in several professional magazines and newspapers and joined BBC Newsnight Newsnight since 2001. He joined the channel 4 news team in 2013 as a cultural and digital editor, and from 2014 to early 2016, he was an economic editor. He is interested in the problems of globalization and social justice around the world, and has covered major events as business and industry correspondents.
Winner of the Winchot Award in Business Journalism in 2003 and 2004 WorkWorld Journalist of the Year. In 2007, he received the Diageo Africa Corporate Report Award for exploration of how mobile phones are changing Africa, and received the Orwell Award for reporting on social movements supporting Bolivian President Evo Morales. In 2012, he was awarded the Reporter of the Year award by the Royal Television Society of the Royal British Television Association.
“Live Working or Die Fighting”, which covers the history of the global labor movement, “Meltdown”, which covers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Rare Earth,” a Chinese novel, and “Guardian” , “Spectator” and other media on a regular basis. He runs the BBC blog ‘Paul Mason’s Idle Scrawl’ and writes about the financial crisis and social problems. He is currently a visiting professor at the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Cluster, University of Wolverhampton, UK.

합리적 보수를 찾습니다(How to be a conservative)

출간일(Release) : 2016/12/19
종이책 출간일(Print Release) : 2016/11/30
전자책 종류(Format) : ePub
Price : KRW 12,800
미리보기(Preview)


ridi

google

yes24

kyobo

aladin

tstore

apple


책소개(Overview)
원칙과 신념의 보수주의는 대체 어디로 사라진 걸까?
한국 사회에 보수주의가 과연 존재할까? 그러기엔 가짜 보수주의자들이 너무 많다.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한 기회주의자들……. 보수를 자칭하는 새누리당과 대통령의 막장 드라마가 한국의 보수주의를 죽여버렸다. 소중한 전통과 유산, 개인의 자유를 지키려는 보수의 원칙과 신념이 죽어버린 것이다.
정치 선진국 영국을 대표하는 보수 지식인의 책 “합리적 보수를 찾습니다”는 유서 깊은 보수주의 철학을 진지하게 말하고 있다. 경제, 외교, 환경, 교육, 문화 등 우리의 삶을 둘러싼 모든 분야에 적용되는 보수주의의 근본 철학을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 저자인 로저 스크러튼은 영국에서 ‘그 누구보다 보수주의에 대해 가장 훌륭하게 정의내리는 인물’로 불린다. 따라서 ‘보수주의란 과연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한 번쯤 가져본 독자라면 그 답을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다. 정치철학으로서의 보수주의를 알아가는 지적 만족감과 함께 보수주의를 재정립할 수 있는 기준을 동시에 선사하기 때문이다.

Where has conservatism of principles and beliefs gone?
Does conservatism really exist in Korean society? There are too many fake conservatives for that. Opportunists who are weak to the strong and strong to the weak … . The drama of the Sunnuri Party and the president, which calls for the remuneration, has killed Korea’s conservatism. The principles and beliefs of conservatives who want to preserve precious traditions, heritage, and personal freedom have died.
The book “How to be a conservative” by the conservative intellectuals who represent Britain in the developed countries of the political world is serious about conservative philosophy. It explains convincingly the fundamental philosophy of conservatism that applies to all areas of our lives, including economy, diplomacy, environment, education, and culture. The author, Roger Scattern, is called the ‘best-defined person in conservatism’ in the UK. Therefore, if you are a reader who has once wondered what ‘conservatism is’, you can get the answer from this book. This is because it provides both the intellectual satisfaction that recognizes conservatism as a political philosophy and the criteria for reestablishing conservatism.


저자(Author)
로저 스크러튼(Roger Scruton)
영국의 대표적인 보수 지식인. 미학, 철학 등 깊은 인문학적 식견을 바탕으로 일상의 보수주의 철학과 가치를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옥스퍼드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타임즈”, “텔레그래프”에 정기적으로 글을 기고한다. 영국에서 ‘그 누구보다 보수주의에 대해 가장 훌륭하게 정의내리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2016년 영국 여왕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수여 받았다.

Britain’s leading conservative intellectual. Aesthetics, philosophy, and other philosophical philosophies. He teaches at Oxford University and writes regularly on “Times” and “Telegraph”. In the UK, it is rated as ‘the best person to define conservatism than anyone else’. In 2016 he was knighted by the British Queen.

왜 다시 도요타인가(Why look again at Toyota?)

출간일(Release) : 2016/11/07
종이책 출간일(Print Release) : 2016/10/31
전자책 종류(Format) : ePub
Price : KRW 11,200
미리보기(Preview)


ridi

google

yes24

kyobo

aladin

tstore

apple


책소개(Overview)
구글·애플이 아니라, 우리와 가장 닮은 도요타에서 배울 때
“대실패도 있고 위기도 많았다. 그런데 끝나면 이상하게 더 힘이 붙는 게 도요타다. 위기에서 배워 더 강해지는 것, 그런 진화능력이야말로 도요타의 가장 큰 자산이다.” 후지모토 다카히로 도쿄대 경영대학원 교수의 말이다.
기업들이 위기를 헤쳐나가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단기 처방이다. 위기란 건 알고 있지만, 그것이 얼마나 심각한지 그리고 해결하려면 뭘 어떻게 건드려야 하는지 제대로 연구하지 않고 대증요법을 쓰거나 문제를 뒤로 미루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한국의 많은 기업이 이 길을 걷고 있다.
위기에 대응하는 또 하나의 방식은, 문제점을 깊이 성찰한 뒤 장기적 관점의 해결책을 준비하고, 고통을 감내하고라도 그 해법을 뚝심 있게 추진하는 것이다. 도요타는 이 길을 걸었다. 리콜 사태만 해도 차량 결함의 직접적 원인 규명뿐 아니라, 의사소통 부족, 초기대응 실패, 본사·현장의 통합 위기대책 부재 등 ‘규모의 불경제·복잡성의 폭발’을 본질적 문제로 규정하고 전방위 대책을 강구했다. 이 모든 일은 CEO가 전면에 나서서 진두지휘한 것이다.

Now we have to learn from Toyota, not Google or Apple, but most like us.
“There were great failures and many crises. But when it is finished, it is Toyota that strangely gains power. Learning from the crisis and being stronger, such an evolutionary ability is Toyota’s greatest asset, “said Takahiro Fujimoto, professor of business school at Tokyo University.
There are two main ways in which companies run through the crisis. One is a short-term prescription. These companies know the crisis, but they do not study how serious it is, and how to deal with it, to solve the problem, or to postpone the problem. Unfortunately, many companies in Korea are on this path.
Another way of responding to the crisis is to deeply reflect on the problem, prepare a solution for the long term, and promote the solution even if the suffering is endured. Toyota walked this way. In addition to identifying the direct causes of vehicle flaws, the recalls also identified the “explosion of scale and complexity” as a fundamental problem, such as lack of communication, initial response failure, . All of this is done by the CEO in front of him.


저자(Author)
최원석(Choi, Wonseok)
1997년 성균관대를 졸업하고 조선일보에 입사했다. 이후 일본 호세이(法政)대학 경영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했다. 사회부·문화부·산업부 등을 거쳐 국제부 차장으로 일하고 있다.
산업부에서 7년간 자동차를 담당하며 한국·일본·미국·유럽·중국의 자동차회사와 공장을 다니고 국내외 업계·학계·정관계 전문가들을 만나면서 자동차 산업의 폭과 깊이를 절감했다. 그 때 일간지에서는 처음으로 현대자동차 수출·내수 차량의 안전장비 차별, 강판의 부식방지 처리의 차이 등을 크게 다뤘다. 특히 에어백·VDC 등 안전장비 차별을 다뤘던 일련의 보도는 현대차가 이후 내수 차량에 6개 에어백을 기본 장착하도록 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2011년에는 1년간 도쿄에서 연수하며, 일본 산업학회 자동차산업연구회 간토(關東)지회의 옵저버 자격으로 일본 자동차 업계·학계 전문가들과 많이 만날 수 있었다.
2013년부터 2년간 조선일보 경영 섹션 ‘위클리비즈’에서 전세계 성공 기업을 취재하고 내로라하는 CEO·석학 등을 인터뷰했다. 이 때 도요타 본사를 심층취재해 도요타라는 기업을 더 많이 알 수 있게 된 것, 도요타의 아키오 사장을 직접 만난 것, 필자를 일본 애니메이션의 세계로 인도했던 미야자키 하야오를 지브리스튜디오 옆 그의 개인 사무실에서 만나 장시간 인터뷰했던 것 등은 돈으로 살 수 없는 경험이자 인생 최고의 순간이었다.
2015년까지 약 12년 동안 자사 홈페이지에 기자 카페 ‘최원석의 자동차세상’을 만들어 운영하며 일평균 최대 10만 건의 페이지뷰를 기록하는 등 수많은 회원, 방문자들과 자동차 이야기를 공유했다. 2016년 10월 네이버에 ‘최원석의 자동차세상’을 개설해 카페 운영을 다시 시작했다.

He graduated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in 1997 and joined the Chosun Ilbo. He then received an MBA from Ho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he works as deputy director of international department through social department, culture department, industrial department.
The Ministry of Industry has been in charge of automobiles for 7 years and has carried out automobile companies and factories in Korea, Japan, USA, Europe, and China, and met with experts from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in Korea. At that time, the daily newspaper greatly covered the differences in the safety equipments of exporting and domestic automobiles of Hyundai Motor, the difference in corrosion prevention treatment of steel sheet for the first time. In particular, a series of reports dealing with the discrimination of safety devices such as airbags and VDCs influenced Hyundai’s subsequent introduction of six airbags in domestic vehicles.
The author trained in Tokyo for one year in 2011 and was able to meet many Japanese automobile industry and academics with the observer status of the Kanto branch of the Japan Society of Automotive Industry Research Society of Japan.
He has interviewed CEOs and scholars who have been reporting on successful companies from around the world for two years starting from 2013 at the “Weekly Biz” section of the Chosun Daily Business Administration. He met Toyota’s president Akio in person, and I met Miyazaki Hayao, who led me to the world of Japanese animation, at his private office next to Ghibli Studios. What he interviewed was an inexhaustible experience and the best moment in my life.
For about 12 years until 2015, we have created a reporter cafe called ‘Choi Won-seok’s Automobile World’ on its homepage and recorded a maximum of 100,000 page views per day, and shared stories with many members and visitors. In Oct. 2016, we opened ‘Choi Won-seok’s Automobile World’ in Naver and resumed cafe operation.

뇌가 섹시해지는 인문학 지도(Philosophers in the metro)

출간일(Release) : 2016/11/07
종이책 출간일(Print Release) : 2016/10/25
전자책 종류(Format) : ePub
Price : KRW 12,000
미리보기(Preview)


ridi

google

yes24

kyobo

aladin

tstore

apple


책소개(Overview)
플라톤부터 프로이트를 거쳐 노스트라다무스와 처칠까지 인문학 핵심 인물들이 지하철 정류장에서 나를 기다린다면?

저자는 각 노선의 주제를 통합적 지식을 위한 개념으로 설정했다. 2호선 ‘모델’을 살펴보면, 철학뿐 아니라 경제와 심리학 등 다양한 학문에서 ‘모델’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설명한다. 그 개념의 중심에는 플라톤이라는 인물이 존재하는데, 이 때문에 플라톤 역은 2호선에서 무려 3개 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 되었다. 덕분에 독자들은 플라톤역에서 얼마든지 철학, 윤리학, 창의성 노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마지막 노선인 14호선 ‘유머’도 재미있다. 웃음, 유머라는 주제로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어떤 생각과 이론, 저서를 남겼는지 알 수 있다. 이 노선에서는 쇼펜하우어와 베르그송에서 시작하여 비트겐슈타인을 거쳐 윈스턴 처칠과 찰리 채플린까지 쉽게 묶이지 않을 법한 인물들을 한 챕터에 모아놓아 지식을 읽는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마치 인문학 핵심 인물들의 종합선물세트 같은 이 책의 마지막은 등장인물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놓은 ‘인물 찾아보기’가 장식한다. 경계를 없애면서 상식을 익힌 독자들이 체계적으로 핵심 인물들을 정리하도록 돕는 저자의 친절한 배려라 하겠다. 세계적인 경영컨설턴트인 저자는 여러 기업을 대상으로 인문학 강연을 하던 중, 어떻게 하면 융합적 지식을 재미있게 전달할까 고민했다고 한다. 고심 끝에 만들어낸 이 책으로 국내 독자들 또한 신선한 지적 자극을 즐길 수 있게 됐다.

What if Plato to Freud, Nostradamus and Churchill, are the key figures of humanities waiting for me at the subway station?

The author has set the subject of each route as a concept for integrated knowledge. The model ‘Line 2’ explains how to use the notion of ‘model’ in a variety of disciplines such as economics and psychology as well as philosophy at a glance. At the center of the concept is Plato, which is why Plato Station became a transit station for three lines from Line 2. Thanks to this, readers can freely change from Plato to philosophy, ethics, and creativity.

The last line, “Humor,” line 14 is also interesting. Laughter, and humor, you can see what people in various fields have left behind in their thoughts, theories, and writings. On this route, it brings a different joy of reading knowledge, starting from Schopenhauers and Bergsons, through Wittgenstein, and collecting in a chapter a list of people who are not easily tied to Winston Churchill and Charlie Chaplin.

The end of this book, like a comprehensive gift set of key humanities characters, is decorated with a ‘look up person’ that clearly shows the characters. It is the author ‘s kind attention that helps readers to get rid of boundaries and organize the key figures systematically. The author, a world-class management consultant, said he was worried about how to convey fusion knowledge when he was giving a lecture on various companies. This book, created with great care, enables Korean readers to enjoy fresh intellectual stimulation.


저자(Author)
뤼크 드 브라방데르(Luc de Brabandere)
보스턴컨설팅그룹 파리사무소 수석고문으로 대학에서 수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여러 기업을 대상으로 강연을 해오던 중 어떻게 하면 철학, 심리학, 역사, 과학 등 분야를 넘나드는 지식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줄 수 있을까 고민했고 파리 지하철 노선도에서 답을 찾았다. 이 책을 통해 ‘언어’ ‘심리학’ ‘기술’ 같은 주제를 하나의 노선으로 묶어 총 14개의 교양 노선도를 만들어냈다.

He was a senior adviser to the Boston Consulting Group Paris Office and studied mathematics and philosophy at the university. While lecturing to various companies, I was wondering how I could show the knowledge that goes beyond philosophy, psychology, history, science, etc., and I found the answer on the Paris subway map. Through this book, we created a total of 14 educational maps by combining topics such as ‘language’, ‘psychology’ and ‘technology’ into one line.

안 미콜라이자크(Anne Mikolajczak)
The author studied Roman philology and has been working as a publicist and writer for many years. Luc de Brabandere has worked with three books while working for 30 years.

공간이 사람을 움직인다(Places of the heart: The psychogeography of everyday life)

출간일(Release) : 2016/10/17
종이책 출간일(Print Release) : 2016/10/14
전자책 종류(Format) : ePub
Price : KRW 13,600
미리보기(Preview)


ridi

google

yes24

kyobo

aladin

tstore

apple


책소개(Overview)
일상생활 속 공간의 심리학
별빛 찬란한 밤하늘에 압도되거나 고대 유적 또는 성 베드로 대성당 한가운데서 경외감에 사로잡히는 찰나, 사람들이 빽빽이 들어찬 방 안에서 공황상태에 빠지는 순간, 공원을 산책하며 마음을 진정시키는 시간이나 카지노와 쇼핑몰에서 유혹에 (기꺼이) 넘어갈 때에도, 변치 않는 한 가지가 있다. 바로 우리를 둘러싼 환경이 우리의 생각과 감정, 신체 반응에 강력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Psychology of space in everyday life
Whether overwhelmed by the glittering night sky, capturing ancient ruins or awe in the midst of the Saint Peter’s Basilica, when you are in a panic in a crowded room, when you walk in the park and calm your mind, or when you’re tempted by casinos and shopping malls There is one thing that does not change. The environment surrounding us has a strong influence on our thoughts, feelings, and body reactions.


저자(Author)
콜린 엘러드(Colin Ellard)
신경과학과 건축 및 환경 설계를 접목시켜 ‘심리지리학psychogeography’을 이야기하는 워털루대학교의 인지신경과학자이자 도시현실연구소Urban Realities Laboratory 소장이다. “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서 “이 시대의 뛰어난 과학 저술가들 중 한 사람”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북미와 유럽, 아시아의 유수 국제 학술지에 과학 연구를 비롯한 신경과학과 건축 및 환경 설계의 교차점에 관한 연구를 발표하며, TED 강연에서 환경심리학을 강의한다.
세계 각지에서 도시 걷기 투어를 실시하고 연구 결과를 주로 박물관에서 전시하는 방식으로 정기적으로 현장 연구를 진행한다. 지은 책으로 “당신의 현 위치You Are Here”가 있다.

He is the cognitive neuroscientist at the University of Waterloo and talks about ‘psychogeography’ by combining neuroscience, architecture and environmental design, and is the director of the Urban Realities Laboratory. “Los Angeles Times”, “one of the great science writers of the times” was praised. He will present research on the intersection of neuroscience, architecture, and environmental design, including scientific research, with leading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in North America, Europe, and Asia, and lecture on environmental psychology at the TED lecture.
It conducts city walking tours around the world and regularly conducts field research by displaying research results mainly in museums. Another book is “You Are Here”.

쓸모없는 짓의 행복(The happiness of pursuit)

출간일(Release) : 2016/08/03
종이책 출간일(Print Release) : 2016/06/24
전자책 종류(Format) : ePub
Price : KRW 12,000
미리보기(Preview)


ridi

google

yes24

kyobo

aladin

tstore

apple


책소개(Overview)
도보 여행자, 아마추어 사진가, 야구 마니아, 새 관찰자…
‘지금이 아니면 안 될 것 같아서’ 일상의 모험에 나선 56명 이야기

많은 사람은 출세나 명예, 부를 목적으로 살아간다. 하루하루 착실하게 공부하거나 출근하고, 시험에 합격해 더 높은 곳에 이르기 위해 노력하고…. 그런데 정말 그런 삶이 정말 ‘내가 원하는 삶’일까? 정말 ‘내가 하고 싶은 일’이 그런 것일까?

“100달러로 세상에 뛰어들어라The $100 Startup”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크리스 길아보(Chris Guillebeau)는 ‘자기만의 꿈’을 꾸고 이를 성취한 전 세계 56명을 취재해 책을 썼다. 그 결과물인 “쓸모없는 짓의 행복The Happiness of Pursuit”은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먼 길을 기약 없이 걸었던 여행자, 자기만의 사진을 찍기 위해 노력하는 사진가, 모든 메이저리그 구장에서 야구 관람하기를 꿈꾸는 마니아와 방대한 규모의 교향곡을 고향 무대에 올리기 위해 노력하는 음악가까지.

“쓸모없는 짓의 행복”은 출간되자마자 ‘새로운 삶’을 꿈꾸는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베스트셀러가 됐고, ‘자기만의 삶’과 ‘목표’를 찾는 사람들에게 이정표 같은 책이 되었다. 같은 고민을 하는 한국인들에게도 많은 도움을 주는 책이 될 것이다.

Walkers, amateur photographers, baseball fans, bird watchers …
‘I do not think it should be now’ 56 people who went on a daily adventure story

Many people live for the purpose of ascension, honor and wealth. They work hard every day to study or work, pass the exam and try to get to a higher place … . But is it really such a life we want? Is it really what we want to do?

Chris Guillebeau, the world’s best-selling author with “The $ 100 Startup,” wrote a book covering 56 people around the world who accomplished this “dream of his own”. The result, “The Happiness of Pursuit”, contains stories of various people. A traveler who has walked a long way, a photographer who is trying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a maniac who dreams of watching baseball in all major league pitches, and a musician who is trying to put a large scale symphony on his hometown.

“The Happiness of Pursuit” became a bestseller loved by many who dream of ‘new life’ as soon as it was published, and it became a milestone book for those who are looking for their own life and goals. It will be a great help for Koreans who are in the same trouble.


저자(Author)
크리스 길아보(Chris Guillebeau)
매달 30만 명이 조언을 구하는 독보적인 라이프&커리어 멘토, 구글과 페이스북에서 미래전략을 강의하는 괴짜 아이디어뱅크, 남들이 가지 않는 길에서 부자가 된 혁명적 벤처 사업가.
고정관념에 대한 반항, 가슴 뛰는 돈벌이, 나의 새로운 발견… 이것이 크리스 길아보가 추구하는 삶의 키워드다.

A unique Life&Career mentor, with 300,000 people seeking advice every month; a geeky idea bank that teaches future strategies on Google and Facebook; and a revolutionary venture business that has become rich on the road that no one else has.
Resistance to stereotypes, heartbreaking money, my new discovery … This is the keyword of life that Chris Gilabo pursues.

프로작가의 탐나는 글쓰기(Jealously write like a professional writer)

출간일(Release) : 2016/07/15
종이책 출간일(Print Release) : 2016/07/10
전자책 종류(Format) : ePub
Price : KRW 10,500
미리보기(Preview)


ridi

google

yes24

kyobo

aladin

tstore

apple


책소개(Overview)
이야기의 실마리를 찾아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는 전초전에서부터, ‘기승전결’의 황금법칙을 활용하여 이야기의 몸통을 구성해 나가는 본 게임, 그리고 단계마다 완성도를 높여줄 이야기 만들기의 법칙(소재 찾기, 희극과 비극의 법칙), 끝으로 실제 이야기가 전달되는 시점에서 이야기의 흡인력을 더욱 높여주는 인터페이스 이야기와 작가의 말글쓰기 철학을 집약한 ‘모순의 글쓰기’에 이르기까지, 방송 현장을 누빈 베테랑 작가의 기술과 철학이 알차게 펼쳐진다.

From the skirmish of discovering the clues of the story to the imagination and the creativity, the game that constructs the body of the story by using the Golden Rule of the ‘Awakening’, and the rule of making story Finally, from the point when the actual story is delivered, to the interface narrative that further enhances the attractiveness of the story and to the writing of contradictions that concentrate on the author’s writing philosophy.


저자(Author)
박경덕(Park, Gyoungduck)
‘라디오 데이즈’ 시절, 촌철살인 시사콩트로 전 국민을 울리고 웃기던 장수 라디오 프로그램 “강석 김혜영의 싱글벙글쇼”를 1973년부터 23년간 집필한 베테랑 방송작가다. 1995년부터 지금까지 20여 년간 MBC 방송아카데미를 비롯한 방송3사 아카데미에서 방송작가 지망생들을 가르쳐왔다.

박경덕 작가는 라디오 작가가 지녀야 할 가장 큰 자질로 우선 ‘ 말글’을 꼽는다. 일찍이 저자는 “라디오는 상상의 매체”라면서 “MC의 말을 들으면 그 내용이 상상될 수 있는 그림 같은 글을 써야 한다”고 했다. 방송은 음악, 영화, 스포츠, 뉴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 콘텐츠가 스토리텔링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종합 문화 콘텐츠다. 그리고 라디오와 TV의 미디어 독과점 시대를 벗어나 바야흐로 1인 미디어 시대에 접어든 지금, ‘그림 같은 말글쓰기’는 새로 등장하는 모든 매체, 모든 형태의 글쓰기에서 더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 책은 박경덕 작가가 보낸 36년 방송 인생의 정수를 모은 것으로, 자신이 세상에 건네고 싶은 이야기를 스토리텔링이라는 기법을 통해 효과적, 감동적으로 알리는 노하우를 전수한다.

MBC 연기대상 작가상, 한국방송협회 한국방송대상 작가상, 한국방송작가협회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3년 동안 매주 한 번 도올 김용옥 선생의 맹자 강의를 듣고 삶 깊은 곳에서 들려온 질문에 답을 얻어 얼마 전 “지금 혼자라면, 맹자를 만나라”를 펴냈다.

During the ‘Radio Days’, a veteran TV commercial, which has been a joyous longevity radio program “Gangseok Kim Hye Young’s Smiling Show” since 1973, Since 1995, he has taught aspiring broadcasters at the three broadcasting academies including the MBC Academy for 20 years.

Park Kyung-deok is one of the great qualities that a radio writer should possess. Earlier, the author said, “Radio is a medium of imagination,” he said. “When you listen to MC, you have to write pictures that can be imagined.” Broadcasting is a comprehensive cultural content in which various cultural contents ranging from music, movies, sports, and news are produced through the process of storytelling. And now that we are out of the age of media monopoly on radio and TV and now we are in the era of one-person media, ‘picture-like writing’ is more strongly demanded in all new media, all forms of writing.

This book is a collection of the essence of the broadcasting life of 36 years written by Park Kyung-deok, and it conveys the know-how to tell the stories that you want to give to the world through storytelling technique effectively and emotionally.

MBC Acting Grand Prize, Korean Broadcasting Association, Korean Broadcasting Award, and Korean Broadcasting and Writing Association. For three years, once every week, he heard Dr. Ming’s lecture by Dr. Yong-ok Kim, and answered the question that he heard deep in my life. he recently published “If I was alone, meet Mencius”.

마음가면(Daring greatly)

출간일(Release) : 2016/07/15
종이책 출간일(Print Release) : 2016/07/06
전자책 종류(Format) : ePub
Price : KRW 12,000
미리보기(Preview)


ridi

google

yes24

kyobo

aladin

tstore

apple


책소개(Overview)
아마존 ‘대인관계’ 분야 5년 연속 1위!
대중심리 최고 권위자 브레네 브라운의 대표작!

대중심리서의 천국인 미국, 아마존에서는 한 달에 1,000종 안팎으로 심리 분야 신간이 출간된다. 우리나라에서 한 달에 출간되는 신간이 20종 남짓인 것을 생각하면 실로 엄청난 양이다. 이렇듯 사회심리학 등 20세기 이후 현대 심리학의 근거지는 미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문에 학문적으로 명망 높은 심리학자 외에도 미국에는 대중들의 심리를 파고드는 연구자들이 많은데,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이번에 대표작 “Daring greatly”을 출간한 브레네 브라운이다.

수치심, 불안 등 현대인이 시달리는 부정적 감정 연구에 15년 이상 매진해 온 그녀는 현대 대중심리의 최고 권위자다. 오랜 연구 끝에 이러한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는 방법이 자신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해냈고 그 과정과 결과를 고스란히 이 책에 쏟아 부었다. 자신의 취약성을 인정하고 드러내면 수치심, 불안, 강박 등의 공격에 끄떡없다는 것이 “Daring greatly”의 핵심 내용이다.

책 출간에 앞서 브레네 브라운은 2010년과 2012년, 자신의 독창적인 연구 결과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이를 알리고자 TED에서 “취약성의 힘”과 “수치심에 귀 기울이기”라는 강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두 강연은 2500만 뷰라는 경이로운 기록과 함께 TED 역사상 최다 시청률을 기록한 명강의 중 하나로 회자된다. 그러나 18분이라는 짧은 강연에서 못 다 한 이야기가 너무 많았던 그녀는 취약성과 수치심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이 책 “Daring greatly”에 상세하게 담아냈다.

Amaz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eld for 5 consecutive years!
Brene Brown’s masterpiece of public hearing superintendent!

In the United States, a paradise of popular psychology, there are about 1,000 new titles in psychology a month. Considering that there are more than 20 new titles published in a month in Korea, it is a tremendous amoun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America is the base of modern psychology since the 20th century, such as social psychology. In addition to the academically respected psychologists, there are many researchers in the United States who ponder the psychology of the public. The most prominent figure is Brene Brown, who has published his masterpiece “Daring greatly”.

She has been a leader in contemporary popular psychology for more than 15 years in researching negative emotions such as shame and anxiety. After a long period of research, she concluded that the way to solve these negative emotions reveals their weaknesses, and she has poured the process and results into this book. It is the core content of “Daring greatly” that if you recognize and reveal your weakness, you will not be attacked by shame, anxiety.

Prior to the publication of the book, Breanne Brown presented a lecture titled “Power of Vulnerability” and “Listen to Shame” in TED in 2010 and 2012 to inform more people of their original research findings. These two lectures are reported to be one of the greatest recordings in TED history, with a remarkable record of 25 million views. However, in a short lecture of 18 minutes, she had so many stories that she had all the details about vulnerability and shame in this book “Daring greatly”.


저자(Author)
브레네 브라운(Brene Brown)
불안, 수치심, 취약성 등 현대인이 겪는 고통의 뿌리를 연구하는 심리 전문가. 15년 가까이 오직 이 연구에 매진하면서 이러한 감정들을 주체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마음가면을 벗고 취약성을 드러내는 순간, 수치심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
브레네 브라운의 메시지는 이처럼 단순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취약한 모습을 보이기 두려워했다. 이 사실에 주목한 그녀는 TED 역사상 최고의 감동이라 일컬어지는 “취약성의 힘”과 “수치심에 귀 기울이기”를 선보인다. 이 두 강연은 2500만 뷰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남겼고, 곧이어 강연의 핵심과 1만 건의 연구 사례를 모은 대표작 “마음가면Daring Greatly”이 출간됐다. 심리 분야 초장기 베스트셀러인 이 책은 미국의 대표적인 대중심리서 중 하나로 일컬어진다.

그녀만의 독창적인 연구 결과와 심리 처방은 마음 깊숙한 곳에 묻어둔 부정적인 감정들을 컨트롤할 힘과 용기를 준다. 때문에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과 학교, 정부와 관공서에서 가장 인기 높은 명강사이자 교육자로 활동 중이다. 가족과 함께 휴스턴에서 살고 있는 그녀는 근원적인 인간 심리에 대한 연구를 변함없이 이어가고 있다.

A psychologist who studies the roots of modern people’s suffering, including anxiety, shame, and vulnerability. For nearly fifteen years, she has sought out this research and found a way to deal with these feelings in a subjective way and got a worldwide reputation.

‘The moment you take off your mind and reveal its vulnerability, you are free from shame.’
Brene Brown’s message is so simple, but most people were afraid to show their vulnerability. Focusing on this fact, she presents “The Power of Vulnerability” and “Listen to Shame” which are called the best impression in TED history. These two lectures left a remarkable record of 25 million viewers, and soon their masterpiece “Daring Greatly”, which is the core of the lecture and collected 10,000 case studies, was published. This book is one of the most popular public psychology books in the United States.

Her unique research findings and psychological prescriptions give her the strength and the courage to control the negative emotions that are buried deep in the mind. As a result, she is one of the most popular top educators and educators in global corporations such as Google, Facebook and Microsoft, as well as in schools, government and government offices. Living with her family in Houston, she continues to study fundamental human psychology.

참 괜찮은 죽음(Do no harm)

출간일(Release) : 2016/05/06
종이책 출간일(Print Release) : 2016/05/06
전자책 종류(Format) : ePub
Price : KRW 12,800
미리보기(Preview)


ridi

google

yes24

kyobo

aladin

tstore

apple


책소개(Overview)
눈물이 차오를 만큼 감동적인 의사의 진실한 자기성찰
“괜찮은 죽음의 조건은 무엇일까?”

책에 등장하는 25가지 에피소드에는 뇌수술로 목숨을 건진 사람, 세상을 떠나는 사람, 그리고 남겨진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 이야기들은 저자 자신이 ‘괜찮은 죽음의 조건은 무엇일까?’라는 화두에 답을 찾아간 30년의 여정을 대표한다.
그에 따르면, 괜찮은 죽음이란 떠나는 사람과 떠나보내는 사람 모두 최선을 다 할 때 맞이할 수 있다. 존엄을 해치는 치료를 중단하는 것이 최선일 수도 있고 가망이 없어도 수술로 마지막 희망을 걸어보는 것이 최선일 수도 있다. 그는 환자들에 생애 마지막 순간만큼은 의사의 일방적인 지침이 아닌 각자의 마음속 답을 따르길 권유한다. 이 책에서 저자가 자신의 뼈아픈 실수담까지 아낌없이 보여주는 이유도 단 하나, 괜찮은 죽음을 위한 최선이 무엇일지 생각할 시야를 넓혀주기 위함이다.

The sincere self-reflection of a doctor who is as touched as a tear
“What is the condition of a decent death?”

The 25 episodes in the book contain vivid stories of those who survived brain surgery, who left the world, and who were left behind. These stories represent the 30-year journey that led to the author’s answer to the question, “What are the conditions of a decent death?”

According to him, a decent death can be met when both the leaving and the leaving are doing their best. It may be best to stop treating harm to dignity, or it may be best to walk the last hope with surgery, even if there is no hope. He encourages patients to follow each other’s heartfelt answers rather than the doctor’s one-sided instructions at the last minute of their lives. In this book, the authors show their soulful gratitude for a single reason, to broaden their view of what is best for a decent death.


저자(Author)
헨리 마시(Henry Marsh)
“영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신경외과 의사이자 섬세한 문필가”

그를 두고 사람들은 이런 타이틀을 붙이곤 한다. 가장 가까이에서 바라본 삶과 죽음, 그에 대한 깨달음을 써내려간 데뷔작 “Do no harm” 덕분이다. 이 책으로 영국의 권위 있는 문학상을 여럿 수상하며 화려하게 이름을 알렸다. 그는 국내외 방송상을 수상한 “Your Life in Their Hands”와 “The English Surgeon”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주인공으로도 유명하다.

환자의 최선만을 생각하기에 의미 없다고 판단한 치료를 과감히 포기한 적도 있다. 그러나 환자의 실낱같은 희망을 위해서라면 가망이 없어 보이는 수술도 감행한다. 삶과 죽음에 대한 문제는, 떠나는 사람과 떠나보내는 사람의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이런 신념으로 30년 가까이 냉정한 의학 지식과 따뜻한 공감 사이에서 고독한 외줄타기를 해왔다.

1950년생인 헨리 마시는 저명한 인권 변호사였던 아버지 밑에서 여유로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 20대 초반, 방황 끝에 다다른 영국 북부의 탄광촌에서 우연히 병원보조원으로 일하게 됐고, 그 경험을 계기로 외과 의사가 되겠다는 결심을 했다.

옥스퍼드에서 정치와 철학, 경제를 공부한 그는 이과 공부를 해본 적도 없었지만, 굳은 의지 하나로 뒤늦게 의대에 입학하여 의사의 길을 밟게 됐다. 신경외과를 선택한 것은 수련의 시절 우연히 보게 된 신경외과 수술에 매료되었기 때문이다.
1987년부터 런던의 앳킨슨 몰리 병원에서 일하고 있으며 신경외과 분야에서 첫손에 꼽히는 명의로 이름이 높다. 요즘도 여전히 수술실과 병실을 오가며 바쁘게 일하는 중이다.

“Britain’s most respected neurosurgeon and fine writer”

He puts these titles on him. This is due to his debut film “Do no harm”, which wrote down life, death and enlightenment from the closest viewpoint. This book has won many prestigious literary awards in the UK and has made a splendid name. He is also famous for his documentary film “The Life in Their Hands” and “The English Surgeon”, which w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awards.

In some cases, he has given up on the treatment that he thought was meaningless to think only of the patient’s best. However, for the patient ‘s sincere hopes, there is also surgery that seems hopeless. The problem with life and death lies in the judgment that the mind of the leaving person and the leaving person are the most important. With this belief, I have been doing solitary tightrope between cold medical knowledge and warm sympathy for nearly 30 years.

Henry Marsh, born in 1950, spent a laid-back childhood under his father, a noted human rights lawyer. In the early twenties, at the end of the wanderings, he accidentally worked as a hospital assistant in a coal mining town in northern England, and he decided to become a surgeon after that experience.

After studying politics, philosophy, and economics at Oxford, he had never studied science before, but he came to the medical school later on with a firm will. He chose neurosurgery because I was attracted to neurosurgery surgery that He had seen by chance during the training.
He has been working at Atkinson Molly Hospital in London since 1987 and is known as one of the first in the field of neurosurgery. These days, He is still busy working and going to and from the operating room.